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비염과 수면의 관계 – 잘 못 자면 비염도 악화된다

by 블루 엑스 2025. 7. 30.

 

 

비염과 수면의 관계 – 잘 못 자면 비염도 악화된다

 

 

수면은 단순한 휴식이 아니라, 몸의 면역체계를 회복시키고 염증을 조절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그런데 비염이 있는 분들은 종종 코막힘으로 인해 깊은 잠을 자지 못하고, 반대로 수면의 질이 떨어지면 비염 증상도 더 악화되는 악순환을 겪게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비염과 수면의 상관관계에 대해 과학적 연구와 함께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1. 비염이 수면에 미치는 영향

알레르기비염은 코막힘, 재채기, 콧물 등으로 인해 수면을 방해합니다. 특히 야간에 코가 막히면 입으로 호흡하게 되고, 이는 수면의 질 저하와 직결됩니다.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에 따르면, 알레르기 비염 환자의 59%가 수면장애를 호소했으며, 특히 지속성 알레르기비염 환자에서 불면과 수면 중 각성이 더 빈번하게 나타났습니다[1].

“비염 환자들은 수면 중 빈번한 각성과 수면 무호흡증에 노출되며, 이로 인해 낮 시간 졸림, 집중력 저하 등 삶의 질이 심각하게 저하된다.”
–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2019년

2. 수면 부족이 비염을 악화시키는 이유

수면이 부족하거나 수면의 질이 낮아지면 우리 몸의 면역 기능이 크게 떨어집니다. 이는 비염의 주요 기전 중 하나인 과민면역반응을 더 쉽게 유발하게 됩니다.

  • 수면 부족 → 면역력 저하 → 알레르기 반응 증가
  • 수면 중 자율신경 균형 붕괴 → 점막 부종 및 혈류 증가 → 코막힘 악화

실제로 Harvard Medical School의 연구에 따르면, 수면이 부족할수록 염증 관련 물질인 IL-6, TNF-α 수치가 증가하고, 이는 알레르기성 염증 반응을 악화시킨다고 밝혔습니다[2].

3. 자면서 악화되는 비염 증상

다음과 같은 증상은 수면 중 악화되는 비염의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 코막힘이 심해져 입 벌리고 자는 습관
  • 수면 중 잦은 각성 및 뒤척임
  • 아침에 더 심한 재채기, 콧물
  •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동반

4. 비염 악화를 막는 수면 전략

비염 환자에게 맞는 수면 환경을 조성하면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① 수면 전 코세척

식염수로 비강을 세척하면 코막힘을 줄여 수면 중 원활한 호흡이 가능합니다.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에서는 수면 전 생리식염수 비세척을 습관화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② 침실 환경 개선

  • 미세먼지 필터가 있는 공기청정기 사용
  • 습도는 40~60% 유지
  • 침구는 매주 고온 세탁, 진드기 차단 커버 사용

③ 수면 자세 조정

머리를 살짝 높인 자세(15~30도 경사)로 자면 비강 내 압력이 감소하여 코막힘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옆으로 자는 자세는 입 벌리고 자는 것을 줄여줍니다.

5. 전문가가 말하는 비염과 수면

“수면은 면역력을 회복시키는 핵심 시간이기 때문에, 비염 환자는 반드시 수면의 질을 신경 써야 합니다. 특히 코막힘이 심한 경우 수면 중 구강 호흡이 심화되어 인후 건조, 이차 감염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분당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조상현 교수

미국알레르기·천식·면역학회(AAAAI)도 다음과 같이 권고하고 있습니다:

“알레르기비염이 수면의 질을 저하시킨다는 사실은 분명하며, 적절한 약물 치료와 환경 관리로 수면 중 알레르기 증상을 완화할 수 있어야 한다.”

6. 비염과 수면, 함께 관리해야 완치에 가깝다

결국 비염과 수면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입니다. 수면의 질이 떨어지면 비염도 악화되고, 비염으로 수면이 방해받으면 면역 시스템은 더 불안정해집니다. 따라서 비염 치료는 단순히 약물만이 아닌, 수면 습관과 환경 개선이 병행돼야 진정한 개선이 가능합니다.

오늘 밤, 코가 뚫린 편안한 숨으로 깊은 잠을 자고 싶다면 침실 환경을 점검하고, 수면 전 비강 관리 루틴부터 시작해보세요.


참고문헌

  1.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알레르기 비염 환자에서 수면장애 빈도 조사. 2019
  2. Irwin MR. Sleep and inflammation: partners in sickness and in health. Nat Rev Immunol. 2019;19(11):702-715.
  3.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알레르기 비염 진료지침 2023

google.com, pub-5007761203806846, DIRECT, f08c47fec0942fa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