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야경증, 악몽, 몽유병 – 아이의 야간 수면장애 이해와 대처법

by 블루 엑스 2025. 8. 8.

 

야경증, 악몽, 몽유병 – 아이의 야간 수면장애 이해와 대처법

아이의 야간 수면장애 이해와 대처법
아이의 야간 수면장애 이해와 대처법

수면은 아동의 성장과 발달에 필수적인 생리 현상입니다. 그러나 일부 아동은 깊은 잠을 자는 중에도 비정상적인 행동이나 반응을 보이곤 하는데, 이를 ‘야간 수면장애’라고 합니다. 야경증, 악몽, 몽유병은 대표적인 야간 수면장애로, 부모가 우려해야 할 중요한 신호일 수 있습니다.

1. 야경증(Night Terror)이란?

야경증은 수면 중 갑자기 비명을 지르며 깨어나는 듯한 반응을 보이지만 실제로는 완전히 깨어나지 않는 상태입니다. 아이는 눈을 뜨고 두려움에 떨며 울거나 발버둥치지만, 부모의 위로에 반응하지 않고 아침이 되면 이를 기억하지 못합니다.

발생 시기: 보통 3세에서 8세 사이에 흔하며, 수면의 비REM 단계(특히 깊은 수면기)에서 발생합니다.

원인: 유전적 요인, 수면 부족, 스트레스, 수면 환경 변화 등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출처: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AASM),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s, 3rd ed. (ICSD-3), 2014

2. 악몽(Nightmare)과의 차이점

악몽은 REM 수면 단계에서 발생하는 생생한 꿈으로 인해 공포심을 느끼고 잠에서 깨는 현상입니다. 아이는 꿈의 내용을 기억하며 부모의 위로에 반응합니다.

차이점 요약:

  • 야경증: 비REM 수면, 꿈 기억 없음, 부모 반응 무시
  • 악몽: REM 수면, 꿈 기억 있음, 위로에 반응

출처: Mindell, J. A., & Owens, J. A. (2010). A Clinical Guide to Pediatric Sleep: Diagnosis and Management of Sleep Problems.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3. 몽유병(Sleepwalking)

몽유병은 수면 중에 일어나 무의식적으로 걷거나 행동하는 증상으로, 보통 비REM 수면에서 발생합니다. 아이는 눈을 뜬 상태로 움직이지만 주변 환경을 인식하지 못하고, 대화도 어렵습니다.

발생률: 전체 소아의 약 15%가 1회 이상 경험하며, 일부는 반복적인 증세를 보입니다.

출처: Kotagal, S., & Yardi, N.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and epilepsy. Seminars in Pediatric Neurology.

4. 야간 수면장애의 공통 원인

  • 수면 부족
  • 스트레스 또는 환경 변화
  • 발열, 감염 등의 신체 이상
  • 불규칙한 수면 루틴
  • 가족력(유전적 요인)

5. 효과적인 대처법

① 일관된 수면 루틴 유지

아동 수면 전문가들은 규칙적인 취침 시간과 기상 시간을 유지하는 것이 야간 수면장애를 줄이는 데 효과적이라고 보고합니다. 특히 매일 같은 시간에 잠자리에 들도록 하는 것이 핵심 입니다.

② 스트레스 요인 파악 및 제거

학교생활, 가족 갈등, 환경 변화 등 아이에게 스트레스를 줄 수 있는 요인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③ 취침 전 자극 줄이기

전자기기 사용 제한, 어두운 조명, 조용한 환경 조성이 필요합니다.

④ 신체 건강 상태 확인

반복되는 증상이 있을 경우, 소아과 또는 소아신경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간질, 수면무호흡증과 같은 다른 질환의 가능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⑤ 안전한 수면 환경 조성

몽유병 아이를 위해 방해물 없는 안전한 공간 마련, 창문과 문 잠금 등 물리적 조치가 필요합니다.

6. 부모를 위한 참고 자료

맺음말

야경증, 악몽, 몽유병은 대부분 성장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이지만, 반복되거나 심각할 경우 전문가의 진단과 도움이 필요합니다. 아이의 수면 습관을 면밀히 관찰하고, 정서적 안정과 신체적 건강을 동시에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google.com, pub-5007761203806846, DIRECT, f08c47fec0942fa0